남에게 보이는 삶에 대한 경고, 나를 찾아줘
본문 바로가기
영화 리뷰

남에게 보이는 삶에 대한 경고, 나를 찾아줘

by 김희희씨 2023. 8. 11.
반응형

2014년 개봉한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스릴러 영화 '나를 찾아줘'는 결혼 생활, 거짓말, 미디어 조작등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질리언 플린의 동명 베스트셀러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사랑의 복잡성과 겉모습에 집착하는 사람의 비극을 보여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나를 찾아줘의 개요와 이 영화에서 말하고자 하는 남에게 보이는 삶에 대한 경고를 알아보겠습니다.

포스터

1. 나를 찾아줘 개요

어린 시절, 어린이 동화책 ‘어메이징 에이미’의 실제 주인공인 에이미(로자먼드 파이크)는 파티에서 작가 닉(벤 애플렉)을 만나 첫눈에 반해 결혼하게 됩니다. 하지만, 현실의 남편은 게으르고 이기적이었습니다. 부부싸움을 할 때 에이미에게 폭력을 휘두르기까지 하는 닉. 연애하던 시절의 다정한 닉을 되찾고픈 에이미는 사랑의 복수극을 계획합니다. 부부의 결혼 5주년 기념일에 에이미가 실종되는 사건이 벌어집니다. 에이미가 집을 폭력 및 살인 현장처럼 보이게 꾸미고 떠나버린 것입니다. 에이미는 먼 곳으로 도망가 탈색으로 머리 색상을 바꾸며 인상착의를 바꿉니다. 한적한 곳에서 쉬면서 본인이 언제쯤, 어떻게 돌아가야 할지 타이밍을 노립니다. 한편, 닉은 에이미 실종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증거가 드러나면서 닉이 유력한 용의자가 됩니다. 이 사건을 둘러싼 언론의 열광이 심화되면서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를 매체와 불완전한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을 내리는 대중의 경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하게 만듭니다. 수사가 진행됨에 따라 닉과 에이미의 관계가 낱낱이 벗겨지면서 부부의 비밀과 거짓말이 드러납니다. 특히 닉이 다른 여자와 바람피운 사실이 드러나면서 두 사람의 결혼 생활이 겉으로 보이는 이상적인 부부가 아니었음을 보여줍니다. 에이미의 일기장을 통해 그녀가 배신감과 환멸을 바탕으로 닉에게 살인 누명을 씌우기 위해 치밀하게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납니다. 영화의 전환점은 에이미가 다시 등장하여 닉이 저지른 범죄에 대한 복수를 위해 자신의 실종을 속였다는 사실을 밝힐 때입니다. 그녀는 대중의 인식을 교묘하게 조작하여 자신을 피해자로, 닉을 가해자로 만들어 자극적인 스토리에 대한 미디어의 열망을 이용합니다.

스틸컷

2. 남에게 보이는 삶에 대한 경고

이 영화는 개인의 행복을 희생하면서까지 세심하게 꾸민 겉모습에 대해 냉철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닉과 에이미 던의 캐릭터를 통해 '보이는 이미지'에 집착하는 행동의 위험성을 경고합니다. 에이미의 계산된 이미지 조작은 완벽한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쿨 걸'로 묘사되는 에이미의 모습은 비현실적인 이상에 순응하고 노력 없이도 바람직해 보이는 외관을 유지해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에 경고를 날립니다. 에이미의 행동은 겉모습을 우선시하는 것이 어떻게 공적인 페르소나와 진정한 자아 사이에 심각한 단절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단절은 개인적인 관계에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공허함과 고립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에이미의 고립감은 치밀하게 계획을 짜는 과정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며, 거짓과 인위성에 기반한 삶이 가져올 수 있는 외로움을 보여줍니다. 또한 영화는 닉을 통해 타인을 위해 특정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얼마나 해로운지 보여줍니다. 미디어와 대중을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려는 그의 시도는 개인이 외부의 기대에 맞추기 위해 진심을 배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닉의 고군분투는 이러한 비진정성이 삶에 정신적, 정서적으로 얼마나 큰 타격을 줄 수 있는지를 강조합니다. 이 영화는 겉모습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는 사람들을 비판하면서도 연기자로 사는 것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을 말합니다. 외적인 완벽을 추구하는 것이 자아 발견과 개인적 성장보다 우선시될 때 발생할 수 있는 공허함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자극합니다. 이 영화는 우리의 행동 뒤에 숨은 동기와 그것이 우리의 관계와 자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도록 만듭니다. 이러한 경향에 대응하기 위해 스스로 자기 계발을 위해 포용, 내적 성취, 자기 성찰, 관계 발전 등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합니다. 자신의 진정한 모습, 결점 등 모든 것을 포용하는 것의 가치를 이해하고 인식해야 합니다. 진정성은 진정한 관계를 형성하고 가식의 제약 없이 개인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합니다. 불완전함을 극복해야 할 장애물이 아닌 성장의 기회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타인에게 인정받는 것보다 내면의 만족과 행복으로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자신의 가치관과 진정으로 공감할 수 있는 취미, 관심사, 인간관계를 개발하면 좋습니다. 자신의 동기와 의도를 정기적으로 성찰해야 합니다. 자신의 행동이 진정성에 대한 욕구에서 비롯된 것인지 아니면 외부의 압력에 의한 것인지 파악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나를 찾아줘'는 겉모습을 우선시하는 사람들에게 진실하지 않게 사는 것의 위험성과 그것이 개인의 인생에 미칠 수 있는 피해를 경고합니다. 등장인물들의 경험과 우리 자신의 삶을 비교해 보면서 진정한 자기 계발을 함양하고 진정성 있는 삶을 영위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봐야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