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머니와 아들의 역동적인 관계를 묘사한 영화, '케빈에 대하여'입니다. 2012년 린 램지 감독의 작품입니다. 추후에 아이를 낳아야 할지 고민하는 청년, 부부에게 대표적으로 추천되는 영화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케빈에 대하여의 줄거리와 모성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케빈에 대하여 줄거리
고등학교 시절 극악무도한 폭력 행위를 저지른 아들 케빈(에즈라 밀러)의 기억에 시달리는 엄마 에바 카차두리안(틸다 스윈튼)을 통해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과거와 현재를 교차해서 보여주며 에바의 기억과 경험을 엮어 케빈과의 관계의 복잡성을 서서히 드러냅니다. 에바는 엄마가 되기 전 자유분방하고 평온했던 삶을 살았습니다. 그녀는 성공적인 여행 작가로 일하며 전 세계를 여행하고 독립을 즐깁니다. 하지만 남편 프랭클린(존 C. 라일리)과 아이를 갖기로 결심하면서 그녀의 삶은 180도 바뀌게 됩니다. 아들 케빈의 탄생으로 에바의 세계는 완전히 바뀌고, 그녀는 아들과 소통하기 위해 고군분투합니다. 어린 시절 케빈은 교활함과 잔인함, 그리고 공감 능력의 결여를 겪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나이가 들면서 케빈의 행동은 점점 더 심해져 또래와 가족 모두에게 폭력과 잔인한 행동을 일삼게 됩니다. 에바는 케빈과 소통하려고 노력하지만 케빈은 여전히 그녀에게 반항적이고 적대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영화의 절정은 케빈의 고등학교 학살 사건에서 발생합니다. 이 사건의 여파로 에바의 삶은 산산조각이 나고 지역사회에서 배척당하며 죄책감과 혼란에 휩싸입니다. 영화는 에바가 비극 이후 삶을 헤쳐나가는 현재의 장면과 케빈의 성장 과정을 담은 과거 회상을 매끄럽게 넘나들며 끔찍한 행동으로 이어진 불길한 경로를 드러냅니다.
2. 모성애에 대한 고찰
모성애는 어머니와 자녀 사이에 존재하는 감정적 유대감입니다. 모성애는 단순한 애정을 넘어 양육, 보호, 희생, 끊을 수 없는 유대감을 포함하는 독특하고 강력한 형태의 사랑입니다. 어머니의 사랑은 자녀의 정서적, 심리적 발달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녀의 전반적인 생활과 미래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영화 '케빈에 대하여'는 한 여성의 모성애를 주제로 합니다. 이 영화는 에바와 아들 케빈의 관계를 통해 모성애의 도전과 미묘한 차이를 살펴봅니다. 엄마가 된 에바의 경험은 초기의 설렘과 희망부터 궁극적인 좌절, 무력감, 심지어 두려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감정이 뒤섞인 것이 특징입니다. 영화 내내 에바는 심각한 불안과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아이를 키우면서 모성애를 시험에 들게 됩니다. 케빈이 태어난 순간부터 에바는 아이와의 유대감을 형성하기 위해 고군분투하지만, 유대감의 결핍은 케빈의 부정적인 성향을 더욱 강화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역학 관계는 모성애가 아이의 초기 발달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강조합니다. 에바와 케빈 사이에 애정 어린 유대감이 없기 때문에 케빈은 점점 더 분리되고 공격적이며 공감 능력이 부족해집니다. 케빈에게 사랑과 지지를 주려는 에바의 시도는 케빈에게 역효과를 냅니다. 케빈에게 다가가려는 그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케빈이 그들 사이에 세운 철옹성 같은 벽에 부딪히게 됩니다. 이 묘사는 엄마와 아이 사이의 안전하고 사랑스러운 애착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토대가 없다면 아이는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에서 기능하는 데 중요한 건강한 감정 조절과 공감을 발달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또한 이 영화는 케빈의 폭력적인 성향이 타고난 기질의 결과인지 아니면 환경과 양육의 결과인지에 대한 논쟁을 담고 있습니다. 이 논쟁은 아이의 타고난 자질과 부모의 사랑과 지도의 영향 사이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강조합니다. 또한 어머니의 사랑이 아이의 타고난 본성을 얼마나 완화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생각할 거리를 남겨놓았습니다. '케빈에 대하여'에서 에바는 케빈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노력을 하지만, 한계를 드러내면서 모성애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 이 영화는 모성애가 강력한 힘이지만, 그것이 뿌리 깊은 심리적 문제를 극복하거나 부정적인 외부 영향의 영향에 대응할 수는 없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모성애는 자녀의 양육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면적이고 필수적인 정서적 유대감입니다. 영화 '케빈에 대하여'는 이런 사랑의 복잡성을 강조하며, 그 존재 여부가 자녀의 행동, 정서적 안정 및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이 영화는 에바의 경험을 통해 모성애와 본성, 양육의 복잡한 관계, 그리고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저항하는 아이를 키우는 데 따르는 어려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합니다.
'영화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염병과 팬데믹에 대한 영화, 월드 워 Z (0) | 2023.08.12 |
---|---|
남에게 보이는 삶에 대한 경고, 나를 찾아줘 (0) | 2023.08.11 |
빵 한 조각 훔친 죗값이 징역 19년?, 레미제라블 (0) | 2023.08.10 |
봉준호의 명작, 기생충에서 김씨 가족이 어긴 법들 (0) | 2023.08.10 |
브래들리 쿠퍼의 영혼을 갈아 넣은 영화, 스타 이즈 본 (1) | 2023.08.09 |